베체씨병


베체씨병이란 어떤 병인가요?
베체씨병의 증상은 어떠합니까?
베체씨병은 어떻게 진단하나요?
베체씨병의 치료는 어떠한지요?


 베체씨병은 1937년 터어키 의사인 베체씨가 입안과 생식기주위의 궤양, 눈의 포도막염이 동반된 3명의 환자를 처음보고하였으며 피부점막 및 눈, 근골격계, 신경계, 혈관, 소화기계 등을 침범하여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전신성혈관염입니다.
전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발생빈도는 지역적 차이를 보이는데 북유럽이나 미국 등에 비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, 중국, 터어키와 같은 지중해 연안국에 발생이 많아 (일본: 10-15명/10만명, 터어키: 80-300명/10만명) 이 질환의 지리적 분포가 과거의 '비단길 (실크로드)' 과 일치 한다는 추측도 있습니다 .

 

      

 베체씨병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으로 실크로드와 일치한다 (진한 녹색일수록 많이 발생) .

 

호발연령은 20-35세로 남녀의 발생비율은 비슷하나 한국인에서는 1:1.4로 여자가 많은 편입니다.
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자가 면역성 질환으로 생각되며 그 밖의 유전적 소인, 감염 등이 관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.


 

  리스트로가기